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잡을 위한 업무능력28

24년 하반기 시중노임단가 24년 하반기 시중노임단가 공표대한건설협회에서 매년 1월 1일에 상반기 시중노임단가, 9월 1일에 하반기 시중노임단가를 공표하고 있으며, 이번에 공표된 시중노임단가는 2024년 9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내역서 작성에 기준이 됩니다. 2024. 9. 4.
관급자관급자재와 도급자관급자재의 차이 관급자재란?관급자재란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사에 한해서 사용되는 자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사에 필요한 자재를 일정한 규격과 기준에 맞춰서 제공하는 자재를 의미합니다.이로 인해 자재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공사비를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공사 전반적인 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품질, 규격, 공급시점 등이 전체적인 공사진행 속도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나라장터 목록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되어 있는 관급자재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목록정보시스템 (g2b.go.kr) 목록정보시스템※ 품목검색 안내 -  일반용 품목 : 계약 ・ 물품관리 등 모든 분야에 사용 가능 -  계약관리용 품목, 시설자재용 품목, 입찰공고용 품목 : 정부 물품관리에 사용.. 2024. 8. 31.
SMC 일위대가 S.M.C 일위대가 작성방법1㎡의 공간에 S.M.C 천장재를 취부 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산출하는 근거 및 참고자료, 작성방법입니다.   S.M.C의 정의열경화성수지 천장재를 S.M.C라고 하며 열경화성수지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건축자재를 의미하며 한번 경화되면 다시 열을 가해도 녹지 않으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내구성 및 강도가 매우 뛰어나며 고온환경에서도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건물, 산업시설, 학교, 병원등 다양한 건축물에 사용됩니다.  S.M.C 재료비 산출 기준한국물가협회와 같은 정부에서 허가한 전문가격조사기관에서 찾아볼 수 있는 S.M.C ㎡당 단가를 기준으로 재료비를 작성합니다.위 2개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2개사 이상의 전문.. 2024. 8. 21.
이중바닥 일위대가 이중바닥 일위대가 작성방법1㎡의 공간에 이중바닥을 조성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산출하는 근거 및 참고자료, 작성방법입니다.  이중바닥의 정의이중바닥을 조성하는데 대표적으로 ACCESS FLOOR와 OA FLOOR로 분류되며 바닥 위에 이중바닥을 조성한다는 목적은 동일하나 사용환경에 따라 맞는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ACCESS FLOOR의 경우 통신실이나 데이터센터와 같은 전자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곳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바닥시스템으로 바닥과 ACCESS FLOOR사이 공간으로 케이블통로를 확보하여 유지관리가 간편해지며 500*500, 600*600 규격으로 높이조절이 200mm ~ 1200mm까지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합니다. OA FLOOR의 경우 일반적인 사무용 공간이나 하중이 크.. 2024. 8. 17.
석고보드면 바탕 만들기 일위대가 석고보드면 바탕 만들기 일위대가 작성방법1㎡의 면적에 석고보드면 바탕 만들기 기준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산출하는 근거 및 참고자료, 작성방법입니다. 석고보드면 바탕 만들기의 정의석고보드면 바탕 만들기는 도장용 퍼티라고도 하며 전체면적을 작업하는 올퍼티와 이음라인만 작업하는 줄퍼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표면의 흠집, 기포, 구멍등을 메워 도장면을 평탄하고 매끄럽게 만드는 재료로써 완성도 높은 도장 결과를 만들어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료입니다. 균일하게 바른 후 충분한 시간을 두어 완전히 경화시킨 후 사포로 연마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만들면 도장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바탕면이 완성됩니다.   석고보드면 바탕 만들기 재료비 산출 기준한국물가협회와 같은 정부에서 허가한 전문가격조사기관에서 찾아볼 .. 2024. 8. 15.
목재데크 일위대가 목재 데크 일위대가 작성방법1㎡의 공간에 목재 데크를 까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산출하는 근거 및 참고자료, 작성방법입니다.( 목재 데크의 경우 목재 데크구조틀과 목재 데크로 일위대가를 나눌 수 있습니다.) 목재 데크의 정의"데크"라는 단어는 선박의 갑판(Deck)에서 유래되어 일반화되었습니다. 지붕이 없는 평평한 바닥을 의미하는데 테라스와 같은 지표면 위에 평평한 바닥을 조성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등 건물외부에 주로 활용되며, 마감재 종류에 따라 방부목, 천연목, 합성목재등으로 나뉩니다.    목재 데크 재료비 산출 기준한국물가협회와 같은 정부에서 허가한 전문가격조사기관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목재 데크 ㎡당 단가를 기준으로 재료비를 작성합니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2개사 이상의 전문가격.. 2024. 8. 15.
반응형